반응형

[그림1] 올뉴마티즈 부동액 교환 DIY

 

01. 예방정비? 과잉정비?


자동차가 꼭 고장이 발생해야만 정비소에 들어가야하는 것일까? 우리는 자동차 매뉴얼에 표시된 소모품 교환 주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을까?

필자는 자동차를 아끼는 편이다. 과도하게 튜닝을 하며 아끼는 스타일이 아니고, 순정 그 자체로 즐기는 스타일이다. 튜닝이라는 것은 어렸을 때, 많이 해봤기 때문에 그리고 요즘 자동차들은 너무 잘 나오기에 튜닝이란 것을 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

필자가 소유한 모든 물건들은 아끼며 오래오래 사용한다. 고등학생 시절 어머니께서 어린이날 선물로 사주신 카시오 데이터뱅크 시계를 아직까지도 소유하고 있으니... 심지어 고장도안나고, 요즘은 차고다니진 않지만 시계 배터리가 떨어지면 시계방 가서 배터리를 교환해 주곤 한다.

그 만큼 물건을 관리해주고 아끼면서 사용하면 오래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도 마찮가지이다. 한두푼 하는 물건이 아니기에 더더욱 신경써서 관리를 해 준다.

즉, 필자가 하는 정비는 과잉정비로 보이지만, 예방정비 쪽이 더 가깝다.

2019/11/20 - [03. 자동차/05my All New Matiz MT] - [AllNewMatiz] 엔진오일 부족 그리고 임시정비

지난 20일 냉간시 엔진소리가 이상하여 오일을 보충한적이 있다. 중고차를 구입해 오면서 가장 기본적인 케미컬류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 발생했던 문제에 대한 포스팅이었다. 그때, 부동액 상태 역시 좋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림2] 올뉴마티즈의 부동액 상태

 

한 달이내로 기본정비를 정비소에서 진행할 예정이어서 그 때, 함께 진행하려 했지만 부동액 상태 때문에 일이 손에 잡히지가 않았다. 그래서 직접 교환하기로 하였다.

마티즈 부동액 교환 방법은 다른 차량에 비해 크게 어려운 것이 없기에 폐부동액만 처리할 수 있다면 직접해도 크게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필자는 폐유 보관을 할 수 있는 드럼통을 사용할 수 있어, 가끔 차량의 케미컬을 직접 교환하기도 한다.

 

[그림3] 폐유 보관을 위한 드럼통

 

 

02. 준비물


크게 준비할 것이 없지만, 올뉴마티즈의 부동액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을 공유해 보도록 한다.

 

1. 부동액 3L (2L 도 상관 없다. 어짜피 물과 섞일 것이기에)

[그림4] 말표부동액

 

필자가 준비한 부동액은 "말표부동액"이다. 가장 저렴하면서도 정비소에서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다. 필자는 2주의 주기로 3번 정도 순환하여 교환할 예정이기에 가장 저렴한 부동액으로 준비했다.

마지막 교환시에는 장수명부동액을 넣어 줄 예정이다.

2. 1m 이상의 호스

필자는 에어호스를 준비했다. 일반적인 에어호스는 마티즈의 부동액 리턴호스와 내경이 비슷하기에 두 호스를 연결해 줄 어댑터가 필요하다. 거창하게 어댑터라고 적었지만, 그냥 볼펜대이다. 

 

[그림5] 빅라운드스틱 볼펜

 

[그림5]와 같이 빅라운드스틱 볼펜의 상하를 분리하고, 볼펜심을 뺀다음 남은 볼펜대를 이용하여 두 호스를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그림6] 볼펜대를 이용하여 리턴호스에 1m 호스 연결

 

일반 수돗물용 호스를 사용하면, 수돗물용 호스의 내경이 리턴호스 외경에 딱 맞는다고 한다. 일반 호스를 사용한다면, 볼펜대는 필요가 없을 것이다.

 

3. 10L 이상통

부동액 교환 DIY 는 엔진오일 교환 DIY를 생각하면 안된다. 수돗물로 계속 순환시켜 빼내기 때문에 엄청난 양의 폐부동액이 발생한다. 제대로 처리할 자신 없으면 시작하면 안된다. 부동액은 1급 독극물이기 때문에 우수관이나 하수도에 그냥 버리면 안된다. 꼭 !! 폐기물 처리를 해야한다. 잘 받아서 자주가는 정비소에 부탁해서 처리하면 된다.

위와 같이 할 자신이 없는 사람은 부동액 교환 DIY 를 진행해서는 안된다. !!

 

4. 수건 및 장갑(수술용 고무장갑 + 목장갑)

부동액은 피부에 닿으면 피부에 흡수되기 때문에 꼭 !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그 위에 목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주변에 흐른 부동액을 빠르게 닦아주기 위해 걸레로 사용할 수건을 함께 준비해 둔다.

 

5. 롱로우즈

리턴호스를 고정하기 위해 밴드가 달려있는데 밴드를 리턴호스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롱로우즈가 필요하다.

 

6. 수돗물과 생수통

부동액라인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해 계속 순환시켜줄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될 수 있으면 수돗물을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진행을 해야한다.

 

 

03. 부동액 교환 1라운드


[그림7] 부동액 리턴호스 위치

 

대부분의 차량인 경우 부동액 교환을 DIY로 하기 위해서는 라지에이터 하단의 토끼 귀모양 코크(일명 토끼코크)를 열어 빼내고 보충하기를 반복하면서 진행한다. 혹은 라바호스에서 왕창 빼 가면서 진행을 해도 되지만, 에어가 많이차서 에어빼기 작업에 시간을 많이사용해야 한다. 참으로 귀찮은 작업이기에 토끼코크 방식의 차량이었으면 그냥 정비소에 가서 교환했을 것이다.

그런데 마티즈는 라지에이터캡도 없고, 일반 차량의 보조냉각수통처럼 생긴 써지탱크에만 캡이 존재한다. 즉 부동액이 엔진, 히터코어, 라지에이터 등을 순환하고 돌아오는 곳이 써지탱크 딱 한 곳인 것이다. 저 통에서만 부동액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엔진에서 올라오는 부동액을 통에 전달해주는 리턴호스를 분리하여 다른 통으로 받아주고, 써지탱크에 깨끗한 물을 계속 보충해준다면, 언젠가는 깨끗한 물이 배출될 것이다.

[그림7]에 빨간색 원형으로 표시해 놓은 부분이 리턴호스 부분이다. [그림7]은 이미 호스를 분리해 놓은 상태이다. 참고로 조심해야할 부분이 리턴호스를 탈거할 때, 꼭!! 시동을 끄고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동을 켜 놓으면 워터펌프가 돌고 있기 때문에 리턴호스로 계속 부동액이 배출될 것이다.

 

[그림8] 써지탱크 캡

 

[그림7]는 써지탱크 캡의 모습이다. 라지에이터캡과는 다르게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써지탱크를 구입하면 캡까지 같이 한 세트일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별도로 써지탱크 캡을 구입해야한다. 피자는 비눗물로 깨끗하게 칫솔질하며 닦았다. 깨끗하게 닦고 나니 교환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여 그냥 사용하기로 한다.

 

[그림9] 써지탱크 캡 품번 및 가격

 

탈거한 리턴호스를 에어호스와 [그림6]과 같이 볼펜대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호스 끝에 통을 놓고, 시동을 걸어주면 폐부동액이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림10] 첫번째로 배출된 폐부동액

 

[그림10]은 지금까지 차에서 사용했던 폐부동액이 배출된 사진이다. 아주 진한 에스프레소 색이난다. 2005년식인데 한번도 부동액 교환이 없었던 것으로 보였다. 9만키로쯤에 타이밍벨트 교환을 하였다고 했는데 지금 13만 몇천이니 4만키로만에 저렇게 되진 않았을테고, 아마도 타이밍벨트 교환 시 부동액을 부족분 만큼만 보충했을 것으로 의심된다.

부동액 상태가 [그림10]과 같은 상태라면 부동액 라인에 분명 녹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아직 어디 터지거나 누수되는 부분이 없으니 최대한 깨끗하게 만들어 관리를 하면 괜찮아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액은 단순히 냉각수의 어는점을 낮추는 효과만 있는게 아니라 냉각수라인의 부식방지 효과및 방청효과까지 있다. 따라서 라지에이터및 엔진 그리고 히터코어 쪽 정비는 당장 할 필요는 없다.

 

[그림11] 냉각수 보충

 

시동이 걸려 있으면 부동액이 리턴호스로 계속 배출되기 때문에 서지탱크에 물을 보충해야만 한다. 물 보충이 없으면 에어가 차기 때문에 써지탱크의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계속 보충해 준다. 호스로 수돗물을 보충할 여건이 안되면 2L 짜리 생수통 몇 개를 준비하여 2인1조로 한 사람은 써지탱크에 물을 보충하고, 다른 한 사람은 물을 떠오면서 진행한다.

[그림12] 폐냉각수

 

[그림12]는 폐냉각수를 한번 버리고, 수돗물을 계속 보충해가며 받은 냉각수이다. 냉각수에 거품이 발생하는 것은 냉각수 상태가 엄청 안좋다는 것이다. 어느정도 지저분한 냉각수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물을 보충한다.

깨끗한 냉각수가 나온다고 여기서 멈추면 안된다. 아직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에는 지저분한 냉각수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자동차의 구조는 썸머스탯이라는 부품이 냉각수의 길을 결정한다. 엔진이 과냉각이 되면 안되기 때문에 일정온도 이하의 냉각수에서는 썸머스탯이 닫혀 라지에이터로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는다. 또한 히터를 최대온도로 켜놓지 않으면 히터코어쪽 냉각수도 순환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금까지 배출한 냉각수는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에 있는 냉각수를 제외하고 배출한 것이다. 그럼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에 있는 냉각수를 배출해 보기로 한다.

 

04. 부동액 교환 2라운드


[그림13] 리턴호스 재연결

 

일단, 시동을 끄고, [그림13]과 같이 리턴호스를 재 연결한다. 써지탱크에 수돗물을 가득 넣고, 써지탱크 캡을 닫는다. 그리고, 시동을 걸고 히터를 최대온도로 높여 놓는다.

[그림14] 수온 확인

 

10분이상 공회전을 시켜야한다. 필자의 차는 수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에, [그림14]와 같이 수온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차종마다 다르긴하지만, 보통 수온이 80도정도 되면 썸머스탯이 열리기 시작한다. 썸머스탯의 최대개방 온도가 몇인지는 잘 모르기에 무작정 공회전을 한다.

여기서 한 가지 새롭게 안 사실이 올뉴마티즈는 94도에서 라지에이터 팬이 작동하기 시작하여 냉각수 온도를 강제로 낮춘다는 것이다.

요즘과 같이 날씨가 쌀쌀해진 경우 수온이 잘 오르질 않는다. 그렇다고 주행을 해 버리면, 수온이 더 떨어질 것이다. 이유는 첫 번째 냉각수 배출 작업으로 인해 냉각수의 수돗물 비율이 높아졌다. 물이 많으면 냉각효율이 좋으나, 어는점이 올라가고, 부동액이 많으면 어는점은 낮아지나 냉각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수돗물 비율이 높은 냉각수인데 주행까지 해 버리면, 쌀쌀한 날씨의 주행풍으로 인해 엄청빨리 냉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쌀쌀할때에는 그냥 공회전으로 엔진오일을 올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만약, 수온게이지가 없다면?? 손으로 라바호스를 살짝 만져봤을 때, 호스가 따뜻하다면 썸머스탯이 열린 것이다. 라바호스는 라지에이터로 들어가는 호스이다.(리턴호스보다 훨씬 두껍다.) 올뉴마티즈는 라바호스가 운전석 헤드라이트 뒷 하단부분에 위치해 있다.(눈으로 보이는 두껍고 검은색 호스를 한번씩 다 만져보면 감이 올 것이다.)

[그림15]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를 순환하고 배출된 폐냉각수

 

어느정도 수온이 올랐고,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를 순환했다고 예상되면 시동을 끄고 1라운드에서 했던 작업을 다시 진행한다. [그림15]를 보면 [그림12]에 비해 확실히 탁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라지에이터와 히터코어를 순환했다는 것이다.

 

 

05. 부동액 교환 마무리


[그림 16] 1라운드, 2라운드 5회 반복작업 후의 냉각수 상태

 

[그림 16]은 1라운드와 2라운드 작업을 2시간동안 5회 반복하여 배출한 냉각수이다. 그냥 따뜻한물이 배출되고 있다. 어느정도 플러싱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림17] 새로 구입한 써지탱크
[그림18] 새로 구입한 써지탱크

 

냉각수 상태가 너무 안좋으면, 냉각수 교환 시 써지탱크도 함께 교환하면 좋다. 필자는 부품 주문할 때, 써지탱크도 함께 주문을 하였다.

[그림19] 써지탱크 교환 중


구품 써지탱크를 탈거하고, 신품 써지탱크를 장착한다. 써지탱크가 새제품으로 교환되니 새차느낌이 난다.

이제 부동액을 넣어 줄 차례이다.

[그림20] 부동액 보충

 

앞에서도 언급했던 것 처럼 냉각수의 물과 부동액 비율 중 물이 많으면 냉각효율이 좋아지지만 어는점이 높아져 겨울에 라지에이터 동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부동액 비율이 높아진다면 어는점은 낮아지지만 냉각효율이 나뻐지기 때문에 여름에 오버히트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여름과 겨울에 물과 부동액 비율을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 요즘 대한민국은 완전한 한파가 아니기 때문에 5:5 비율로 사계절을 지내지만,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7(물): 3(부동액)의 비율이 좋다. 겨울에는 4(물):6(부동액)의 비율이 좋다. 하지만, 정확한 비율을 맞추기는 힘들다. 그래서 비중계를 사용하여 맞추곤 하는데 일단 오늘 작업한 부동액 교환은 1차 작업이기 때문에 비중계까지 꺼내질 않았다.

현재 냉각라인에 수돗물이 거의 들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빈 써지탱크에는 부동액만 가득 보충한다. 잠시 공회전을 하고, 수온이 썸머스탯을 열었을 만큼 뜨거워 졌을 때, 리턴호스로 [그림21]과 까지 냉각수를 배출시킨다.

 

[그림21] 부동액 배출

 

[그림21]은 배출된 부동액이다. 물과 부동액의 비율을 맞추기 위함이니 너무 많이 배출하지는 말고, 적당히 배출 한다. 참고로 필자는 1리터 정도 배출하였다.(라지에이터 내부에 머무는 냉각수 용량이 1리터정도라고 한다.) 

수돗물 순환을 많이해서인지 물과 섞인 연한 부동액 색깔이 나타난다. 전혀 탁하지가 않다. 플러싱이 어느정도 잘 된 것으로 보인다.

다시 시동을 끄고, 리턴호스를 연결하고 써지탱크에 부동액만 가득 넣고 시동을 켜서 순환시킨다. 앞서 1리터를 배출하였기 때문에 1리터 정도가 더 들어갈텐데 색깔을 보면서 농도를 맞추면 된다. 부동액 원액 대비 너무 심하게 연해졌다면 냉각수를 조금 더 배출시키고, 부동액을 써지탱크에 보충해주고 공회전하고 등의 작업을 계속 반복하여 농도를 맞춘다. 여기서 냉각수 비중계가 있으면 아주 편하게 농도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

 

06. 정리


정비소에서 부동액을 교환해보면 순환식으로 교환을 했다 하더라도 어느정도 배출이 된 후에 부동액 비율을 맞춘다. 하지만, 필자가 했던 것 처럼 맑은물이 나올 때까지 플러싱을 해주지는 않는다.

[그림22] 1차 작업이 마무리된 써지탱크

 

 

[그림22]는 1차 작업이 완료된 후의 사진이다. 신차처럼 써지탱크에 선명한 녹색의 부동액이 찰랑찰랑 거리고 있다. 아주 기분이 좋다. 워낙 상태가 안좋았었기 때문에 앞으로 두 번정도 더 진행할 예정이다. 분명 몇 일 지나면 냉각수가 조금이라도 오염되어 있을 것이다. 이전 냉각수 라인이 너무 오염되어 있었기 때문인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번 냉각수 교체시 라지에이터 플러싱액도 함께 병행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자동차는 기본적인 케미컬 제품만 잘 관리하여도 심하게 고장나질 않는다. 따라서 과잉정비라 생각하지 말고 예방정비를 철저히 하여 길 한복판에 차가 멈추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9년 11월 24일
Kunttang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매깡

- 각종 문의는 메일로 해주세요. 메일: soriel01@nat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