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덕 생활을 한지도 3년이 다 되어간다. 자덕 생활 1년 차가 조금 넘은 시점 부터는 자전거로 출퇴근을 주로 한다.

1년에 60~70회 정도 자전거 출/퇴근을 하고 있으니, 경제적으로도 이익이고 건강적으로도 이익이다.

자출을 했을 때 우리 같은 자덕에겐 가장 큰 문제가 복장과 신발이다. 무조건 빕과 저지를 입고 자전거를 타야하는 것이 자덕의 소양이라 하지만 회사 출근시에 그러한 패션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그래서 필자는 일상복으로 출근을 진행한다.(뭐 편도 10km 뿐이 안되는 거리기에 빕을 입을 이유도 없고, 출근 땐 땀을 흘리지 않기 위해 최대한 천천히 라이딩을 하기 때문이다.)

일상복으로 출근을 하다 보면 엉덩이도 아프지 않는 시점이 온다. 이 때 부터는 몇 십 키로 혹은 100km 이상 라이딩을 해도 엉덩이가 아퍼 라이딩을 못할 정도가 아니게 된다.

그럼 복장은 해결 되었고, 다음은 신발....

복장은 포기를 해도, 클릿 슈즈는 절대 포기를 할 수 없다. 평페달로 다니는 것 자체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과 페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없어 자세면에서도 전혀 득이 될 것이 없다.

처음엔 회사에 일반화를 가져다 놓고 갈아 신을 까도 생각을 해 보았지만, 노노.. 이 것도 불편하다.

그리하여 필자가 선택한 것은 투어링 슈즈와 MTB 클릿 페달 !!

 

시마노 투어링 클릿R 슈즈 SH-CT5

 

시마노 투어링 클릿R 슈즈 SH-CT5

 

시마노 투어링 클릿R 슈즈 SH-CT5

 

시마노에서 출시한 클릿R 규격의 SH-CT5 이다. 일반적인 클릿 슈즈와는 다르게 상당히 일반화 스럽다. 평상시에 신고 다녀도 아무런 무리가 없다.

더군다나 MTB 클릿이라 로드 클릿처럼 불편하지도 않다.

1년 넘게 투어링 슈즈를 신고 다녀본 결과 상당히 만족한다. 단점은 자덕 뽀대가 나지 않는다는.. 가끔 퇴근 하면서 동호회 라이딩에 참석을 하는데 사람들이 평페달 신고 자전거 타는 줄 착각을 한다.

암튼, 투어링 슈즈에 너무 만족하면서 지내고 있던 어느날(2021년 겨울).. 아디다스에서 삼바 모양의 투어링  클릿 슈즈를 출시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이름은 벨로삼바...

너무 구입하고 싶어서 해외 배송까지도 생각을 해 보았지만 언젠간 국내에도 출시를 해 줄 것을 기대 하면서 참고 기다렸다.(사실 시마노 클릿 슈즈도 못 신을 정도가 아니었기에..)

드디어... 벨로삼바 국내 출시가 되었더라.. 한 동안 잊고 살고 있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검색을 해 보았더니 벨로삼바를 판매하고 있었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바로 구매 직행 !!!!

 

집으로 배송된 벨로삼바

 

아디다스도 요즘 트랜드인 환경문제를 인식해서인지 박스 부터가 상당히 환경 단체 스러웠다.

벨로삼바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하여 만들었다고 하는데, 신기하긴 하다.

 

벨로삼바 박스 개봉

 

사진보다 실물이 훨씬 이쁘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아디다스의 삼바 신발과 디자인이 동일하다. 단지 바닥면에 MTB 클릿을 장착할 수 있는 홀이 있을 뿐이다.

 

벨로삼바 로고

 

신발 옆면엔 진한 주황색 글씨로 벨로삼바 이름이 새겨져 있다. 

파랑과 주황의 색 조합이 정말 이쁘다.

 

벨로삼바의 밑창

 

벨로삼바의 밑창에는 일반 MTB 슈즈와 같이 MTB 클릿을 장착할 수 있는 홀이 있다. 시마노 투어링 슈즈보다 앞쪽으로 위치하고 있어 클릿 핏팅 시 잘 맞춰야 한다.(아무래도 아디다스는 자전거 전문 브랜드는 아니어서 정확한 위치까지 맞추진 못한 것 같다. 클릿 위치만 잘 맞추면 사용성엔 전혀 문제가 없다.)

필자는 MTB 클릿을 SH51 과 SH56 전부 가지고 있는데, SH51인 경우 단방향으로만 빠진다. SH56 인경우 여러방향으로 비틀어도 클릿 페달에서 잘 빠진다.

SH51인 경우 주로 산악용 슈즈에 많이 장착하고, SH56인 경우 일반 라이딩에 많이 장착한다. 개인적으로 SH51을 더 선호를 하지만, 이번엔 SH56을 장착하였다.

 

벨로삼바의 안쪽 재질

 

벨로삼바의 안쪽 재질은 상당히 부드러우면서도 도톰하다. 쿠션감이 어느정도 느껴지는 신발로 착용 했을 때 편하다.

 

벨로삼바를 신어본 모습

 

워낙 신발에 관심이 없는터라 신발 끈을 이쁘게 묶는 법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다만, 자전거를 타면서 끈이 풀리면 안되기에 풀리지 않게 잘 묶어보았다.

신발을 신었을 때 첫 느낌은 생각보다 볼이 좁다는 느낌이다.

아디다스 삼바를 여러번 신어봤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았던 부분인데, 벨로삼바는 일반 삼바 대비 볼이 좀 좁게 나온 느낌이다.

필자는 시마노 슈즈인경우 43wide, 43.5, 44 사이즈를 신는다.

43wide 는 많이 불편하고, 43.5는 딱 정사이즈, 44 사이즈는 조금 크다. 시마노 43.5 ~ 44사이즈에 해당하는 280 사이즈를 주문했는데, 볼 사이즈가 좁게 느껴져 살짝 불편하다.(신다 보면 늘어나서 괜찮아질 정도이다.)

 

벨로삼바를 신고!!!

 

벨로 삼바를 신고 출근을 해 보았다.

아직 까진 큰 이상은 없다.

 

벨로삼바 라이딩 사진

 

벨로삼바 라이딩 사진

 

꼬까신을 신고 신나서 사진 몇 컷을 찍어 보았다.

오.. 이쁘다. 감성이 있다. 확실히 아무 디자인 없는 시마노 투어링 슈즈를 신다가 벨로삼바를 신으니 좀 있어 보인다.

하지만 라이딩 시 평페달 스러운 것은 여전하다.

 

벨로삼바를 신고 신나게 달린 날 로그

 

벨로삼바를 구입하고 한달 넘게 신어보고 있다. 심지어 자전거를 타지 않는 날도 신고 다니고 있다.

요즘 므틉으로 평지 최고 평속 깨기를 하고 있는데 여기서 벨로삼바의 좁은 볼에 문제가 좀 있다. 시마노 투어링 슈즈를 신을 땐 발 저림이 한번도 없었는데, 벨로삼바를 신고나서부터는 한 시간 정도 평균 NP 240와트 이상으로 달리면 발 저림이 생긴다.

이 부분은 로드 클릿 슈즈를 신어도 똑같은 현상인데 그만큼 발을 꽉 잘 잡아주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힘의 전달이 고스란히 페달에 잘 된다는 장점이지만, 빡라시엔 좀 불편할 수 있다.(필자에겐 조금 아쉬웠던 부분)

그래도 뭐 매일 빡라 할 것은 아니니 전체적으로 만족도는 95% 이상이다. 일단 디자인이 너무 마음에 들고 평상시 신발로 신어도 전혀 부족함이 없는.. 더군다나 자전거 출근 후 회사에서 일할 때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통풍성능면에선 조금 아쉽긴 하다. 더운 날씨엔 발에 땀이 좀 차는 편이며, 겨울에 방풍, 보온 효과는 좋을 것으로 보인다.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 하나 쯤 가지고 있어도 좋을 신발이다.

 

2022년 9월 19일
Kunttang.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매깡

- 각종 문의는 메일로 해주세요. 메일: soriel01@nate.com

,
반응형


00. 링크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1 <= (현재글)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2 - V4L2로 스트리밍 하기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3 - RTSP 클라이언트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4 - CVLC 자동실행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5 - DDNS와 Port Forwarding 설정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6 - ffmpeg와 crontab을 이용한 녹화 기능 구현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7 - 녹화 영상에 시간 넣기




01. DVR이란 무엇인가?



요즘은 어딜가든 CCTV가 설치되어있다. 길거리 혹은 실내에서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되면 그 행동이 고스란히 영상으로 기록이된다. 심지어 차량의 블랙박스에서 까지 나의 행동을 녹화하고 있으니 죄 짓고 살기 힘든 세상이다.

아무리 카메라가 좋아도 영상을 기록할 장치가 없다면 그 카메라의 역할은 실시간 감시뿐이 없다. 하지만, DVR 이라는 영상을 기록하는 장치가 카메라와 함께 운용된다면 하나의 감시 기록 시스템으로 확장하게 된다.




DVR은 Digital Video Recorder 의 약자로 말 그대로 녹화장치이다. 불과 10~20년전까지만 하더라도 녹화장치는 자기테이프 기록장치를 주로 사용하여,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테이프를 교환해 주며 운용을 하였지만 최근에는 자기기록장치와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하드디스크가 내장된 DVR이라는 녹화기가 CCTV 시스템의 중심이 되었다.


02. DVR 시스템의 필요성



필자는 직장인으로 개인적으로 DVR 시스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필자가 가지고 있는 DVR 시스템이라고 해 봤자 차량의 블랙박스가 전부이다.

하루는 친구가 운영하고 있는 자동차, 바이크 랩핑샵(http://www.junwrap.co.kr)에 놀러갔는데 친구의 차량에 심한 상처가 난 것을 발견하였다. 옆 식당에 온 손님이 문을 심하게 열어 발생한 상처로 추정되어지나 직접적인 증거가 없어 보상을 받을 방법이 없었다. 만약 상처가 난 차량이 친구가 운영하고 있는 샾에 방문한 손님 차량이라면 고스란히 친구가 보상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었다.

어찌어찌하여 DVR을 만들어 실시간 녹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보안업체의 CCTV도 알아보았으나 월 20,000원정도의 유지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비용절감을 위해 일단 만들어보기로 한다.


03. 환경



- 보안 업체의 월 20,000원 정도의 CCTV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a. HD급 카메라(적외선 포함) 2대

b. DVR 1대

- 보안 업체에서 제공하는 CCTV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c. 모바일로 언제든지 CCTV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d. 녹화




기타 동작감지라던지 소소한 추가 기능들이 있지만, 보안업체 CCTV의 대표적인 기능 위주로 개발을 해 보려고 한다.


[그림1] JunWrap 네트워크 구성도[그림1] JunWrap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1]은 현재의 JunWrap(http://www.junwrap.co.kr) 네트워크환경에 Server와 CAM 을 추가한 구성도 이다. 이미 2년 전 JunWrap 을 개업했을 당시 네트워크 작업을 진행해 주었다. 기가비트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의 파일 공유속도는 엄청나게 빠르다. 다만, 현재까지 NAS 혹은 파일 서버의 역할을 하는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기가비트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대로 이용할 기회가 없었을 뿐이다.

ipCAM1과 ipCAM2는 네트워크 기능이 포함된 실내 전용 카메라로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가 내장된 카메라이다. 저조도에서는 적외선 광원이 자동으로 켜지게 되어 있어 밤의 영상도 확인이 가능하다. RTSP 로 인해 실시간 영상확인이 가능하다.

Analog CAM은 수년 전 저가 보안업체에서 사용하던 아날로그 Type의 실외용 카메라이다.


04. 서버 구성



ipCAM1과 ipCAM2는 RTSP가 내장되어있기 때문에 스트리밍을 위한 별도의 작업은 필요하지 않으나, AnalogCAM은 스트리밍을 위해 여러 작업이 동반되어야 한다. 일단, AnalogCAM 의 영상의 디지털화를 위한 캡쳐보드가 필요하고, 캡쳐보드를 구동하기 위한 컴퓨터가 필요하다. 


[그림2] 캡쳐보드(자이뷰 XV400 PCI)[그림2] 캡쳐보드(자이뷰 XV400 PCI)


캡쳐보드로는 자이뷰 XV400 PCI(XyVision)를 선택하였다. 사실 이 보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컴퓨터 DVR 시스템을 위한 필수보드로 아직까지도 판매가 되고 있는 보드이다. 새제품인 경우 4~5만원대의 가격을 가지고 있으나, 중고 1만원 대의 가격으로 구입을 할 수 있는 보드이다. 하지만, 이 보드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2가지가 있다.




단점 1. PCI 방식이다. 이미 5~6년 전부터 메인보드에 PCI 슬롯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는 산업용 컴퓨터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단점 2. 자이뷰 XV400 PCI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드라이버 설치 및 전용 DVR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는데, Windows XP에 최적화가 되어있다.(Windows 7 32bit 까지 지원되긴 하지만, 매끄럽게 동작하질 않는다.)

만약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컴퓨터가 있다면, 단점 1과 2는 장점(?)이 되어버린다. 필자는 이미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컴퓨터로 서버를 준비해 놓았다. 여기까지는 정말 순조롭게 진행이 되었다.

www.xysystem.com 에 접속하여 전용 프로그램을 확인해 보니, 시리얼을 등록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졸지에 단점 3이 생기는 순간이었다. 시리얼은 별도로 인터넷을 통해 1~2만원대에 구입을 할 수 있지만, 필자는 단점 2로 인하여 구입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었다.

일단, 윈도우 XP에 안정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MS에서 지원조차 받지 못하는 운영체제를 서버로 운용하고 싶지 않았다.

[그림3] XV400 PCI의 메인칩(Conexant FUSION 878A)[그림3] XV400 PCI의 메인칩(Conexant FUSION 878A)


XV400 PCI 에 사용된 메인 칩을 확인해보니, Conexant Fusion 878A 를 사용하고 있었다.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별도의 작업 없이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이 되었다. 최근에 Release 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는 V4L(Video4Linux)을 사용할 수 있다. V4L 은 리눅스에서 Video Capture 장치를 Load 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API 들의 집합이다.

그래서 결정된 운영체제는 Linux Mint 19 Tara 64-bit Xfce 이다. Linux Mint 19 Tara 는 LTS(Long term support release)로 2023년 4월까지 지원이 가능한 리눅스 배포판이다. 서버 사양이 좋지 않으므로, 적은 리소스로 구동이 가능한 Xfce 로 결정을 하였다.

[그림4] 서버를 위한 컴퓨터 부품 가조립[그림4] 서버를 위한 컴퓨터 부품 가조립


창고에 정리해 놓은 부품들 중에 적합한 부품들을 하나하나 모아보았다. 일단, 창고에 오래 보관된 부품으로 메인보드 수은전지를 교체하고, 각 부품들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확인을 해 보았다. 이미 창고에 들어가기 전에 정상 동작을 확인했던 부품이었기 때문에 문제없이 작동이 된다.

[그림5] 서버로 사용될 컴퓨터의 사양[그림5] 서버로 사용될 컴퓨터의 사양


골동품 중에 골동품이다. 하지만, 부품들의 상태가 좋아서 몇 년째 창고에 보관 중이었던 부품이다. Intel Dual-Core E6300 제품으로 윈도우 설치를 하여서는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사양이다. 메모리는 DDR2 2GByte + 1GByte 조합의 3GByte 로 구성을 하였고 하드디스크는 500GB 로 구성하였다. DVR 로 사용할 서버이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는 사용시간이 짧은 부품으로 장착을 하였다.




[그림6] 조립 완료 및 기가비트 랜카드와 캡쳐보드 사진[그림6] 조립 완료 및 기가비트 랜카드와 캡쳐보드 사진


창고에 있는 비교적 깨끗한 케이스를 꺼내어 조립을 완료하였다. 조립을 하다보니, 확인이 덜 된 부분이 있었는데 바로 이더넷의 지원 속도였다. ASUS P5KPL-AM SE 보드인 경우 10/100Mb 속도의 이더넷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리밍과, 녹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Samba 서버 역할을 하기위한 네트워크 대역폭으로는 부족한면이 있었다.

그래서, PCI-Ex 방식의 기가비트 카드를 추가하였다. 기가비트 랜카드의 리뷰는 하기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Coms PCIEx 기가비트 랜카드 리뷰Coms PCIEx 기가비트 랜카드 리뷰


[그림7] Power Loss 설정[그림7] Power Loss 설정


서버는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와 모니터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의 전기부분에 문제가 발생 후 복구가 되었을 시 자동으로 켜지게 해야한다. 바이오스 셋업 화면에서 간단히 설정이 가능하다. Restore on AC Power Loss 항목을 Power On 으로 설정하면 전원이 입력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그림8] 리눅스 설치 완료 화면[그림8] 리눅스 설치 완료 화면


리눅스 민트 19 Tara 설치까지 완료된 화면이다. 이젠 DVR 구성을 위한 개발을 시작하면 된다.

[그림9] 캡쳐보드 테스트에 사용된 Minicube X7+ Android[그림9] 캡쳐보드 테스트에 사용된 Minicube X7+ Android




리눅스에서 캡쳐보드가 정상작동하는지 확인해 보기위해 RCA 케이블로 집에 있는 동영상 셋톱박스를 연결해 보았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RCA 출력이 되는 장비 몇 개는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창고를 아무리 뒤적뒤적해도 RCA 출력을 위한 장비가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딱 하나가 나왔는데 기본 HDMI 출력이지만 Display Menu 에서 PAL 및 NTSC 출력 설정을 통해 RCA 출력을 할 수 있는 셋톱박스를 찾게 되어 설정한 후 연결해 보았다.


[그림10] VLC 에서 캡쳐장치 열기[그림10] VLC 에서 캡쳐장치 열기


테스트를 위하여 VLC 플레이어에서 캡쳐장치를 열어보았다.


[그림11] VLC에서 인식된 캡쳐장치(/dev/video0)[그림11] VLC에서 인식된 캡쳐장치(/dev/video0)


VLC 플레이어에서 캡쳐장치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생 버튼을 눌러 영상이 표시되는지를 확인한다.


[그림12] VLC에 출력된 화면[그림12] VLC에 출력된 화면


정상적으로 VLC에 화면이 출력되었다. 셋톱박스에서 출력되는 비디오타입과 VLC의 설정이 정상적이지 못해 화면이 깔끔하지 못하지만, 캡쳐보드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날로그 카메라를 연결하여 확인해 봐야 할 것 같다.




05. 마무리



DVR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준비는 끝났다. 이젠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면 된다.

a. 서버 부팅과 동시에 녹화 시작
   - ipCAM1, ipCAM2, AnalogCAM

b. AnalogCAM 스트리밍(RTSP 구성)

c. Samba 설정

d. 1분단위로 끊어서 녹화하는 기능

e. 특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는 기능

f. 영상에 시스템 시간과 CAM 이름이 삽입되는 기능

이 모든 기능이 어떠한 코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필자는 쉘스크립트, 콘솔 프로그램, 시스템 설정을 통해 DVR 을 개발하려고 한다.

개발이라고 말하기 부끄러울만큼의 구성이지만, 위와 같은 간단한 기능을 코딩으로 개발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캡쳐보드로 입력된 AnalogCAM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을 작성할 예정이다.


2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2 - V4L2로 스트리밍 하기)

3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3 - RTSP 클라이언트)

4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4 - CVLC 자동실행)

5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5 - DDNS와 Port Forwarding 설정)

6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6 - ffmpeg와 crontab을 이용한 녹화 기능 구현)

7편 링크 : ([DVR] 집에서 놀고 있는 컴퓨터로 DVR을 만들어보자 #7 - 녹화 영상에 시간 넣기)


2018년 11월 26일
Kunttang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매깡

- 각종 문의는 메일로 해주세요. 메일: soriel01@nate.com

,